대한민국 소방의 발전과정 복잡한 현대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재난, 피할 수 없지만 극복을 위해 노력하시는 전국의 소방관 여러분께 감사를 드리며, 우리나라 소방역사의 발전과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삼국시대 화재를 사회적 재앙으로 인식하면서 금화의식이 생기게 되었으며, 신라시대 민가에 화재가 발생하여 100 여동이 소실됨으로써 왕이 이재민을 위문하고 구제를 위한 활동기록이 있음. 2. 고려시대 (금화제도 시작시기) 화재방지를 위하여 창름(쌀창고)과 부고(창고)등에 금화관리를 두게 되었고, 화약사용이 많아지게 되면서 화통도감을 신설관리하고 소방을 소재라고 하였습니다. 3. 조선시대 전기 ① 세종8년2월 금화조직을 설치 ※ 병조에 금화도감을 설치 ☞ 한국최초의 소방(금화) 관서. ② 세종8년6월 금화도감+성문도감 ☞ 수성.. 소방설비 2024. 1.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