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건축물 화재성상 목조건축물의 화재는 실내의 환기 상태에 따라서 실내 가연물의 양 ,공기 공급상태,가연물의 연소 특성에 따라연소 속도가 달라지게 되며, 짧은 시간내 최성기의 연소상태가 이루어 지게 됩니다. 목조건축물의 화재시 진행과정과 화재의 성상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1.목조건축물의 화재 진행과정① 전기화재의 원인 발생무염착화 → 발염착화 → 출화(발화).② 후기출화 → 최성기 → 연소낙하 → 진화.※ 출화 ~ 최성기 까지의 소요시간 ☞ 5 ~ 15분.따라서, 발화(출화)에서 최성기 까지의 시간이 짧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옥내소화전의 신속한 대응이 소방대 도착시까지 가장 중요한 조치라 할수 있습니다. 2.목재의 구체적 연소단계① 목재가열② 수분증발(기화) ☞.. 소방위험물 2024. 8. 18. 목재건축물의 화재시 연소특성 목재건축물의 화재시 연소되는 특성과 목자재의 연소되는 과정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목재건축물의 화재특성① 목재의 열 전달율목재의 열 전달율은 콘크리트 보다 적으며,콘크리트에서 철근의 허용능력을 위태롭게 하는 최저온도는 600℃ 입니다. ② 열 팽창률목재의 열팽창률은 벽돌·철재·콘크리트보다 적으며, 벽돌·철재·콘크리트 등은 열팽창률이 비숫하게 나타납니다. ③ 수분 함유량목재의 수분 함유량에 따라 화재의 위험성이 다를수 있으며,목재의 수분 함유량이 15%이상 이면 고온에 장시간 접촉해도 착화하기가 어렵습니다. 2.목재의 연소에 영향을 주는 인자비중 ,비열,열전도율,수분함량,온도,공급상태,목재의 비표면적. 3.목재의 상태와 연소속도목재의 상태와 연소속도빠 르 다느 리 다형 .. 소방위험물 2024. 8. 12. 분진폭발 현상과 조건 폭발시 발생되는 에너지는 가스폭발보다 수백배 이며, 온도는 탄화수소양이 많아 2천~3천℃로 올라 가는 분진폭발의 현상과, 분진폭발 조건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분진폭발 현상분진폭발은 화학적폭발로서 가연성 고체의 미분이나 액체의 미스트(mist)가 티끌이 되어 공기중에 부유하고 있을때 어떤 착화원의 에너지를 받으면 폭발하는 현상입니다. #2.분진폭발의 진행과정분진 입자의 표면에 열이 전달→ 전달된 열에 의한 열분해로 입자 주위에 가연성 가스 발생→ 공기(산소)혼합 → 폭발성 혼합기체 생성→ 착화에너지에 의한 발화 → 열분해로 건류 작용 촉진→폭발. ※ 건류작용? : 고체를 가열하여 휘발성 물질을 모으는 작용. #3.분진폭발 조건① 분진폭발의 입자크기는 약100㎛(1~100㎛).. 소방위험물 2024. 8. 2. 자연발화와 습기 자연발화는 밀폐된 공간에서 습기에 의한 열의 축척으로 점화원 없이 일어나는 연소현상으로, 자연발화가 일어날 수 있는 습기(수분)와의 관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연발화는 후텁지근 하고 밀폐된 공간에서 자기 자신의 열 축척으로 일어나는 현상을 말하는데요,열의 축척을 위해서는 주위에 습기가 있어야 열전달이 용이하게 됩니다. 물은 액체로서 100℃만 되어도 끓는 물질이어서 비열과 증발잠열이 크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물은 상온의 20℃ 전후만 되어도 따뜻해 물질내 열전달이 용이하기 때문에 목욕탕 내 열탕의 물 온도는 45℃ 이하이지만, 뜨거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지요. 물질내에서 습기(수분)가 서서히 열전달을 증가시키면서 그 축척된 열이 발화점 이상이면 불이 붙게 됩니다.이러한 현상을 자연발화라고 합.. 소방위험물 2024. 6. 3. 폭굉의 성상과 특징 폭굉은 화염의 전파속도에 따라 음속을 기준으로 그 이상에 해당되는 초음속의 전파속도를 가지고 있는 폭발을 말합니다. 데토네이션이라고도 하는 폭굉에 대한 성상과 특징에 대하여 알아 봅니다. >1.속도- 전파 속도가 음속보다 빠른 초음속의 전파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약1,000이상~ 3,500m/sec이하. 2.충격과 압력 - 폭굉시 전파속도에 따른 충격이 있으며,압력은 약1,000kgf/㎠로 압력상승이 폭연의 경우보다 10배이상으로 상승합니다.- 충격에 따른 압력은 정지 하지 않은 동압에 해당됩니다. 3.에너지에너지 방출속도가 물질전달 속도에 기인하지 않고 아주 짧다. 4.온도 : 온도의 상승은 충격파의 압력에 기인 하여 상승하게 됩니다. 5.파면 : 파면(화염면)에서의 온도와 압력, 밀도.. 소방위험물 2024. 5. 28. 가스저장탱크 화재와 블래비 현상 화재시 가스저장탱크의 외부 과열로 탱크가 파괴 되면서 내부에 저장된 가스가 분출되어 폭발하는 현상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① 화재시 탱크의 내부 액화가스가 뜨거운 열로 인하여 급격한 팽창과 비등으로 내부 압력이 증가 하게 됩니다.② 탱크의 안전장치 압력 완화율을 초과하면 용기 벽면등이 균열·파괴·분해되어 물리적 폭발이 일어나게 되며, ③ 물리적 폭발물이 화염에 착화되어 순간적으로 화학적 폭발로 이어지게 됩니다.④ 폭발후 불기둥이 상부에 화구를 형성하며 버섯 구름처럼 화염의 덩어리를 만들게 됩니다. 이를 화이어 볼(fire ball)이라고 하며,화이어 볼 발생시 온도는 약1,500℃이며,이 폭발은 수 km까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끓는 액체 팽창증기 폭발"이라고 정의 하며,화재시 외부 탱.. 소방위험물 2024. 5. 20. 자연발화의 영향과 황린의 특성 가연물이 밀폐된 고온 다습한 공간에서 서서히 산화되면서, 축척되는 열로 인하여 발화하는 현상을 자연발화 라고 합니다. 1. 자연발화에 영향을 주는 열 ① 분해열 물질에 열이 축척되어 서서히 분해할 때 생기는 열. 예) 니트로셀룰로오스,셀룰로이드,니트로글리세린등. ② 산화열 가연물의 산화반응으로 축척된 열. 예) 석탄, 기름종류(건성유), 황린, 금속분. ③ 미생물열 미생물의 발효현상으로 발생되는 열(발효열). ④ 흡착열 가연물이 고온의 물질에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는 열. 예) 활성탄, 목탄(숯) 분말등. ⑤ 중합열 작은 다량의 분자가 큰 분자량의 화합물로 결합할 때 발생하는 중합 반응열. 예) 시안화수소, 산화에틸렌등. 2. 자연발화 원인과 대표물질 자연발화의 원인은 공기 중에서 산화, 수분과의 반응혼.. 소방위험물 2024. 4. 2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