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시 발생되는 에너지는 가스폭발보다 수백배 이며, 온도는 탄화수소양이 많아 2천~3천℃로 올라 가는 분진폭발의 현상과, 분진폭발 조건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분진폭발 현상
분진폭발은 화학적폭발로서 가연성 고체의 미분이나 액체의 미스트(mist)가 티끌이 되어 공기중에 부유하고 있을때 어떤 착화원의 에너지를 받으면 폭발하는 현상입니다.
#2.분진폭발의 진행과정
분진 입자의 표면에 열이 전달
→ 전달된 열에 의한 열분해로 입자 주위에 가연성 가스 발생
→ 공기(산소)혼합 → 폭발성 혼합기체 생성
→ 착화에너지에 의한 발화 → 열분해로 건류 작용 촉진
→폭발.
※ 건류작용? : 고체를 가열하여 휘발성 물질을 모으는 작용.
#3.분진폭발 조건
① 분진폭발의 입자크기는 약100㎛(1~100㎛)이하.
② 분진의 입자와 밀도는 작을수록 표면적이 커져서 폭발이 잘되며,수분이 적을수록,
불활성 가스가 적을수록 폭발의 가능성은 커집니다.
※ 분진폭발 촉진조건
밀도가 작을수록,수분이 적을수록,입자가 작을수록 분진 폭발은 촉진됩니다.
③ 분진폭발 영향인자
산소의 농도,수분,화학적 성질과 조성,가연성가스,입도와 입도분포.
④ 분진이 발화·폭발하기 위한 조건
가연성의 미분상태로서 점화원이 존재 하여야 하며,공기중에 섞여 폭발할수 있는 범위내에 있어야 합니다.
#4.분진폭발 종류
① 금속분 : 알루미늄,마그네슘,아연등.
② 유황.
③ 석탄,솜,담배,생선분의 비료,종이분,경질고무등의 가연물.
#5.분진폭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물질
석회종류(산화칼슘,수산화칼슘),탄산칼슘,생석회,가성소다,시멘트가루,대리석 가루,유리등.
<참고사항>
탄산칼슘과 탄화칼슘의 비교
① 탄산칼슘 : 분진폭발이 불가능함.
② 탄화칼슘 : 제3류 위험물로서 물과 혼합시 '아세틸렌 가스'발생.
이상으로 분진폭발 현상과 조건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끝.
'소방위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조건축물 화재성상 (0) | 2024.08.18 |
---|---|
목재건축물의 화재시 연소특성 (0) | 2024.08.12 |
자연발화와 습기 (1) | 2024.06.03 |
폭굉의 성상과 특징 (0) | 2024.05.28 |
가스저장탱크 화재와 블래비 현상 (0) | 2024.05.20 |
자연발화의 영향과 황린의 특성 (0) | 2024.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