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생활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옥내소화전은 화재 시 어떻게 작동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옥내소화전의 구성요소
① 옥내소화전 사용시 필요한 수원(물).
② 전동기및 펌프.
③ 압력스위치및 압력챔버(기동용 수압개폐장치).
④ 체크밸브,개폐밸브,성능시험배관.
⑤ 호스, 관창, 비상전원(축전지등).
2.화재시 옥내소화전의 작동원리
① 옥내소화전은 화재시 해당층의 소화전함을 열고 개폐밸브를 돌려 분당 130ℓ 이상 나오는 물을 20분 동안 방수 할 수 있는 시설입니다.
② 물을 방수하게 되면 배관 내에 물과 공기가 빠져나가므로 배관내에 압력이 떨어지게 되고,
③ 배관내에 압력이 떨어지면 주로 지하층에 있는 수조에 연결된 압력스위가 떨어진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챔버를 작동시킵니다.
④ 압력챔버는 펌프를 자동으로 기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 설치하며,
배관 내 압력이 떨어지면 펌프를 기동시 켜 지하수조의 물을 화재층까지 토출 하게 합니다.
⑤ 옥상수조가 있는 경우 지하층에 위치한 모터펌프가 작동하기 전까지 물이 내려와 불을 끌 수 있으나,
낙차거리가 짧은 경우 배관등 마찰로 인한 손실을 감안하여 0.2 MPa(20m) 이상의 가압송수압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 가압송수 압력장치란?
모터펌프를 이용하여 20m 이상의 송수 압력을 줄 수 있는 시설을 말합니다.
3.옥내소화전함의 구조
① 옥내소하전의 방수구 설치는 층별로 설치하며,
② 방수구간의 거리는 25m,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로 하여야 합니다.
③ 호스의 구경은 40㎜(호스릴은 25㎜) 이상의 것으로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에 물이 유효하게 뿌려 줄 수 있는 길이로 설치
④ 표시등의 설치기준
-기동표시등: 기동시 점등
- 위치표시등: 평상시 점등되며, 옥내소화전함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불빛은 15도 이하의 각도로 발산되어,
10m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합니다.
옥내소화전은 소방관이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화재 현장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물분무 시설입니다.
이상으로 옥내소화전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끝.
'소방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각소화 원리 (0) | 2024.02.05 |
---|---|
옥내소화전 펌프 성능시험배관 (0) | 2024.02.03 |
터널화재 안전 소화설비 (1) | 2024.01.29 |
대한민국 소방의 발전과정 (0) | 2024.01.13 |
감지기의 종류와 작동형식 (0) | 2023.12.25 |
스프링클러의 작동방식과 원리 (0) | 2023.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