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

스프링클러의 작동방식과 원리

모운동 2023. 12. 16.

스프링클러는 우리의 생활공간이나 창고 등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초기진화에 효과적인 방호역할을 담당하는 설비입니다.

 

스프링클러의 작동방식과원리

 

1. 스프링클러 설비의 장점

①소화약제가 물이기 때문에 값이 싸서 경제적이다.

②감지부의 구조가 기계적이므로 오동작 염려가 적다.

③시설의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④화재시 초기진화에 효과적이다. 

 

 

2. 스프링클러의 작동방식과 원리

1) 습식스프링클러

습식밸브의 1차 측 및 2차 측 배관 내에 항상 가압수가 충수 되어 있다가 화재발생 시 열에 의하여 헤드가 개방되면서 물이 분사되어 소화.

 

측벽형헤드

 

2) 건식스프링클러

건식밸브의 1차 측에는 가압수, 2차 측에는 공기가 압축되어 있다가 화재발생 시 열에 의하여 헤드가 개방되면서 물이 분사되어 소화.

 

※참고사항

2차 측 밸브의 압축공기를 충전하는 이유?  ☞ 동절기 동결 또는 동파방지를 위한 방식임.

 

 

<습식설비와 건식설비의 차이점>

(습식설비)

①습식밸브의 1,2차 측 배관 내에 가압수가 상시 충수.

②구조가 간단.

③설치비가 저가.

④동절기 배관보온이 필요.

⑤소화활동시간이 빠르다.

 

 

(건식설비)

①건식밸브의 1차 측에는 가압수, 2차 측에는 압축공기 또는 질소로 충전. 

②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비가 고가.

③동절기 배관보온이 불필요.

④소화활동시간이 느리다. 

 

스프링클러분사소화

 

3)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준비작동밸브의 1차 측에는 가압수, 2차 측에는 대기압 상태로 있다가 화재발생 시 감지기에 의하여 준비작동밸브(pre-action valve)가 작동되면서 헤드까지 가압수를 송수시켜 놓고 열에 의해 헤드가 개방되면 물이 분사되어 소화.

 

참고사항

 

※참고사항

준비작동밸브(pre-action valve)란?

준비작동밸브에는 전기식, 기계식, 뉴메틱식이 있으나, 전기식이 많이 사용됨.

전기식 준비작동밸브의 1차 측에는 가압수, 2차 측에는 대기압 상태에서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반을 통해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면 준비작동밸브가 개방되어 물을 분사함으로써 소화활동을 하게 됨.

 

건식설비와 준비작동식 설비의 차이점

 

<건식설비와 준비작동식 설비의 차이점>

(건식설비)

①건식밸브의 1차 측에는 가압수, 2차 측에는 압축공기를 충전.

②건식밸브 사용.

③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나, 오동작의 우려가 크다. 

 

 

(준비작동식 설비)

①준비작동식 밸브의 1차 측에는 가압수, 2차 측에는 대기압상태.

②준비작동식 밸브 사용.

③감지기 장치를 설치해야 하며, 오동작의 우려가 적다.

 

부압식 스프링클러

 

4) 부압식 스프링클러

준비작동밸브의 1차 측에는 가압수, 2차 측에는 부압(진공) 상태로 있다가 화재발생 시 감지기에 의하여 준비작동밸브(pre-action valve)가 개방되어 헤드까지 가압수를 송수시켜놓고, 열에 의해 헤드가 개방되면 물이 분사되어 소화활동.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

 

5)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

일제개방밸브의 1차 측에는 가압수, 2차 측에는 대기압상태로 있다가 화재 발생 시 감지기에 의하여 일제개방밸브(deluge valve)가 개방되어 물이 분사되면서 소화활동.  

 

 

이상으로 소방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방식과 원리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