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생활공간이나 가정에서 볼 수 있는 화재경보기인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주방용 자동확산소화장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단독경보형 감지기>
1.단독경보형 감지기는 교류형과 직류형이 있으며, 건전지가 내장된 직류형 감지기가 많이 쓰이고 있음.
①화재 시 열에 의해 감지된 화재신호(삐~)를 신속하게 실내 안에 경보하여 인명피해를 미리 경고하거나, 실내 초기 진화를 위한 소방설비임.
②별도의 수신기를 필요로 하지않으며,내장된 음향장치에 의하여 단독으로 화재발생상황을 알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
2. 구조 및 기능
①감지기 내부에 건전지와 음향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전원을 공급하며, 화재 시에는 감지기 자체에서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설비임.
②음압은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m떨어진 지점에서 70db 이상이고, 10분 이상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3. 단독경보형 감지기 설치기준
설치기준은 각 실마다 설치하여야 하며, 바닥면적이 150㎡를 초과하는 경우 150㎡마다 1개씩 추가로 설치하여야 합니다.
<설치예>
노약자나,독거노인등이 거주하는 실내 천장에 설치하며 화재로 열, 연기등 발생 시 '삐~~ 소리'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라는 경보음을 알리는 무선감지기로서 단순하고 간편한 경보시스템입니다.
<주방용 자동확산소화장치>
1. 화재 시 가연성가스의 누출을 자동으로 차단하며, 소화약제를 자동 방사하여 소화하는 장치.
2. 가스차단장치는 주방배관의 개폐밸브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며 상시 확인이 가능하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3. 우리 식생활에 필요한 조리대 또는 불을 이용하는 곳에는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자동확산소화장치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끝.
'소방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널화재 안전 소화설비 (1) | 2024.01.29 |
---|---|
옥내소화전설비의 작동원리및 구성요소 (1) | 2024.01.21 |
대한민국 소방의 발전과정 (0) | 2024.01.13 |
감지기의 종류와 작동형식 (0) | 2023.12.25 |
스프링클러의 작동방식과 원리 (0) | 2023.12.16 |
옥내소화전 수원의양 (0) | 2023.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