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위험물

제6류 위험물의 특성과 안전소화 대책

모운동 2024. 2. 13.

산화성액체인 제6류 위험물은 불연성이지만 분해할때 다량의 산소를 발생합니다.

분해시 화재의 위험성과 피부에 닿으면 화상을 입거나,피부 점막을 부식시키도 하는

제6류 위험물에 대하여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6류 위험물

 

1.제6류 위험물의 종류 와 지정수량

① 과염소산,과산화수소(농도36중량%이상) ☞ 300kg.

② 질산(비중1.49이상) ☞ 300kg. 

 

 

참고)약국에서 판매하는 옥시풀인 과산화수소는 3%수용액임.

 

질산(비중1.49이상)

 

2.제6류 위험물의 일반적인 성질

① 모두 강산의 액체로서 물보다 무겁고 자체내에 산소가 있으며, 분해 할때 많은 산소를 발생함.

 

피부접촉화상

 

② 피부에 닿으면 화상을 입게 되고,증기는 유독해서 피부와 접촉시 점막을 부식시킵니다.

(예외 : 과산화수소는 알칼리성)

 

③ 질산은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무색의 발연성 액체로서 나무,종이등과 접촉하여 발화하는 물질입니다.

 

조연성 물질

 

3.제6류 위험물의 위험성

① 물또는 염기와 접촉하면 발열

(예외 : 과산화수소).

② 강산성으로서 다른 물질의 연소를 도와주는 조연성 물질임. 

 

 

③ 질산은 무색의 부식성이 있는 액체로 분해시 이산화질소,산소가 생성되며,

황화수소,아세틸렌,이황화탄소등과 발화·폭발의 위험성이 있음.

 

④ 과산화수소는 소독살균제로 사용하고 있으나,고농도인것은 히드라진등과 접촉하면 폭발의 위험이 있음.

 

예방과 안전대책

 

4. 예방과 안전대책

① 용기의 파손및 변형 ,전도방지와 용기내 물 또는 습기침투를 방지 해야하며,

질산은 햇빛에 분해되어 자극성의 과산화질소를 만들기 때문에 갈색병에 보관합니다. 

 

 

② 과산화수소의 밀봉 보존시 용기내 산소분해를 촉진하여 내부에 산소압력이 생기므로 ,

구멍뚫린 마개나 자동가스 배출기를 사용해야 하며,강산화제,강산류,가연성물질의 접촉 ,

또는 가열에 의한 유독성가스의 발생을 방지 해야합니다.

 

화재시 소화대책

 

5. 화재시 소화대책

① 제6류 위험물은 불연성이지만 다른 가연물과 혼합 연소하기 때문에 냉각소화가 부적당합니다.

☞ 상황에 따라 분무상의 물을 다량으로 사용하는것도 효과적입니다.

 

② 고농도의 강산류는 원칙적으로 주수할수 없지만,

과산화수소는 물과 반응하지 않으므로 다량의 물로 씻어낼수 있음.

 

제3종분말약제

 

※ 적응성있는 소화약제 : 제3종분말약제,포소화설비,물분무소화설비,건조사등.

※ 적응성없는 소화약제 : 할론소화설비등 가스계 소화약제.

 

③ 제6류 위험물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유독성이기 때문에 피부보호와 공기호흡기 착용이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제6류 위험물의 성상과 안전대책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