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의 연소과정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체의 연소는 열분해를 하는 분해연소와 내부적으로 연소하는 자기연소 형태가 있으며,
열분해를 하지 않는 연소의 형태는 증발연소와 표면연소로 나눌수가 있습니다.
1.증발연소
고체 → 액체 → 기체의 연소상태.
열분해 없이 열에 녹은 액체에서 가연성 증기가 발생하고, 공기와 혼합한 증기가 연소하는 현상.
예) 파라핀,나프탈렌,고체알코올,요오드,유황(황),왁스등.
2.분해연소
고체가 뜨거운 열에 부서지게되고 부서진 분해물이 공기와 혼합되면서 생성된 기체가 불꽃 연소하는 현상.
예) 종이,목재,석탄,플라스틱,고무,섬유등.
3.표면연소
직접연소,불빛연소라고도 합니다.
가연성 고체가 그 표면에서 열분해 또는 증발하지 않으며,
휘발성이 없는 고체 가연물이 산소와 접촉하는 표면에서 불꽃없이 연소하는 현상.
즉,표면연소하는 가연물은 열분해나 증발을 하지 않기 때문에 불꽃을 발생하지 않고 고체표면에서
공기중에 있는 산소와 부딪치면서 co를 형성하는 현상입니다.
예) 숯(목탄),코크스,금속분.
※ 불빛연소
나무가 뜨거운 열로 분해,
→ 분해후 가연성 기체는 타고,
→ 불완전 연소된 미립자는 연기로 날아가고,
→불완전 연소된 덩어리 숯이,
→표면에서 산소와 접촉하여 co를 형성하면 불빛을 내게 됩니다.
4.자기연소(내부연소)
가연물의 분자내 산소가 있어, 외부의 산소공급이 없어도 자기연소하는 현상.
예) 제5류 위험물이 해당됩니다.
① 질산에스테르
니트로셀룰로오스,니트로글리세린.
② 니트로화합물
TNT,피그린산.
이상으로 고체의 연소과정과 형태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끝.
'소방위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굉의 성상과 특징 (0) | 2024.05.28 |
---|---|
가스저장탱크 화재와 블래비 현상 (0) | 2024.05.20 |
자연발화의 영향과 황린의 특성 (0) | 2024.04.22 |
열과 에너지의 관계및 법칙 (0) | 2024.03.25 |
액화석유가스 의 성분과 특성 (0) | 2024.02.16 |
제6류 위험물의 특성과 안전소화 대책 (0) | 2024.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