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는 공기의 흐름 즉, 공기의 압에 따라 퍼지는 현상으로, 화재시 연기에 의한 감지기의 작동이 온도에 의한 작동보다 효과적일수 있습니다.연기감지기의 종류와 작동 원리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연기감지기의 종류와 작동원리
1)이온화식 스포트형 감지기
① 구성요소
이온실,신호증폭회로,스위칭회로,작동표시장치
② 작동원리
화재발생시 연기 입자의 침입으로 이온전류의 흐름이 저항을 받아 이온전류가 작아지면 이것을 검출부,증폭부,스위칭회로에 전달하여 수신기에 신호를 보냄.
③ 이온화식 감지기의 특징
- 화재의 조기발견.
- 연기의 색에 영향을 받지 않음.
- 외광에 의해서는 동작하지 않음.
- 접점과 같은 가동부분이 없어 재조정이 불필요.

2)광전식
가.광전식 스포트형
① 구성요소
발광부,수광부,신호증폭회로,스위칭회로,작동표시회로,작동표시장치.
② 작동원리
화재발생시 연기 입자가 침입하게 되면 광반사가 일어나 광전소자 저항의 변화를 수신기에 전달하여 신호를 보냄.
나.광전식 분리형
① 구성요소
발광부,수광부,신호증폭회로,스위칭회로,작동표시장치.
② 작동원리
발광부에서 상시 수광부로 빛을 보내고 있어 그 사이에 연기가 광도의 축을 방해하는 경우,또는 광량이 감소 되면서
일정량을 초과 하면 화재신호를 보내게 됨.
다.공기흡입형
① 구성요소
흡입배관,공기흡입펌프,감지부,계측제어부,필터.
② 작동원리
흡입용 팬 또는 흡입배관을 통하여 경계구역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중에 함유된 연소생성물을 분석하여 화재를 감지.
3)연기복합형 스포트형
#2.연기감지기의 설치기준
① 복도및 통로는 보행거리 30m마다 1개 이상 설치.
② 계단및 경사로는 수직거리 15m마다 1개이상 설치.
③ 천장 또는 반자가 낮은 실내 또는 좁은 실내는 출입구의 가까운 부분에 설치.
④ 천장 또는 반자 부근에 배기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 설치.
⑤ 감지기는 벽 또는 보로부터 0.6m이상 떨어진곳에 설치.
※ 바닥면적에 의한 감지기 설치 수(높이 기준) :단위 ㎡
부 착 높 이 | 감 지 기 종 류 | |
1종및 2종 | 3 종 | |
4m 미만 | 150 | 50 |
4~20m 미만 | 75 | 설치불가능 |
#3.연기감지기의 설치장소
① 계단및 경사로·에스퀄레이트 경사로
복도(복도 길이 30m미만은 제외)
② 엘리베이터 승강로
(권상기실이 있는 곳은 권상기실) .
린넨슈트 · 파이프피트 및 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③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15~20m미만의 장소.
③ 공동주택 · 오피스텔 · 숙박시설 · 노유자시설 · 수련시설,합숙소
의료시설 입원실이 있는 의원.조산원
④ 교정 및 군사시설
⑤고시원
이상으로 연기감지기의 종류와 작동원리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끝.
'소방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내소화전설비 의 설치기준과 사용방법 (0) | 2024.12.05 |
---|---|
피난기구의 종류와 설치기준 (2) | 2024.10.03 |
단백포 소화약제 (1) | 2024.09.26 |
자동화재 속보설비의 기능 설치기준 (1) | 2024.06.10 |
제연설비의 풍도 크기 (0) | 2024.05.17 |
제연설비의 종류 와 방식 (0) | 2024.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