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를 사용하여 거품을 형성하는 소화약제로서 화재시 질식효과를 나타내는 단백포의 장,단점과 단백포의 단점을 보완한 불화단백포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하겠습니다.

1. 단백포
① 성분
동물의 단백질 가수분해 생성물(소의 뿔,발톱,동뭉의 피)에 제1철염의 포 안정제와 부동액을 첨가시킨 흑갈색의 끈끈한 약제.
☞ 단백질 + 기포안정제(제1철염 첨가).
② 발포배율
3%, 6%형.
③ 장점
-내열성과 점착성이 우수하며,방부제및 내화성을 높이기 위해 제일철염을 사용합니다.
-안정성이 있으며, 약 3년간의 보관이 가능.
-박테리아균을 분해할수 있어 친환경적임.
④ 단점
-기름을 오염시키는 유염성이 있고,금속을 부식시키는 단점.
-한랭지역에서의 유동성과 내유성이 작아 소화효과가 작다.
-분말과 혼합을 피해야 하며,옥외저장시 보온 조치가 필요하다.
-흑갈색으로 독한 냄새가 나며 변질이 잘됨.

2.불화단백포(불소단백포)
※ 단백포와 수성막포의 단점을 개선한 포소화제
① 성분
단백포의 유동성과 수성막포의 내열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단백포에 불소계 합성계면제를 소량 첨가한 소화약제.
② 장점
-단백포의 결점인 유동성과 내유성,유염성을 보완한 소화제.
-수성막포의 결점인 내열성을 보완.
-표면하주입방식에 적당함.
-경년기간이 길다(8~12년).
③ 단점
-고가로서 유통이 잘 안되고 있음.
-최저 사용온도가 -5도로서 내한용,초내한용으로 사용이 어렵다.
이상으로 단백포의 특징과 단점을 개선한 불화단백포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끝.
'소방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기감지기 와 열감지기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0) | 2025.01.04 |
---|---|
옥내소화전설비 의 설치기준과 사용방법 (0) | 2024.12.05 |
피난기구의 종류와 설치기준 (2) | 2024.10.03 |
연기감지기의 작동원리 연기감지기 설치장소와 기준 (0) | 2024.08.30 |
자동화재 속보설비의 기능 설치기준 (1) | 2024.06.10 |
제연설비의 풍도 크기 (0) | 2024.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