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어속담

고침안면 속뜻 고침안면 한자 고침안면 유래

고두암 2023. 11. 9.

'고침안면'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고침안면은 어떤 뜻일까요? 고침안면 속뜻, 고침안면 한자, 고침안면 유래 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고침안면 뜻

 

<고침안면 뜻>

① 고침안면 겉뜻

 베개를 높이 베고 근심걱정없이 편히 잠을 잔다. 

 

 

② 고침안면 속뜻

안심할 수 있는 편안한 상태를 뜻함.

 

꾸지람

 

(예문) 큰 잘못을 하고도 고침안면하기를 바래?

(예) 회사가 안정되었으니 이젠 고침안면하세요!

 

고침안면한자

 

<고침안면 한자>

고침안면 한문은 高枕安眠이며, 개별 한자의 뜻은 (高 : 높을 고/ 枕 : 베개 침 / 安 : 편안할 안 / 眠 : 잠잘 면)입니다.

 

 

<고침안면 유래>

출전은 중국 전국책(戰國策)입니다. 

 

전국시대 때 사람인 소진과 장의는 종횡가로 유명한데, 소진은 합종책, 장의는 연횡책을 주장했다.

 

합종연횡

 

합종이란 진나라 이외의 여섯 나라, 즉 한나라, 위나라, 조나라, 연나라, 제나라, 초나라가 동맹해 진나라에 대항하는 것이며, 연횡이란 이 여섯 나라가 진나라와 손잡는 것이었다. 

 

 

소진보다 더 악랄했던 장의는 진나라의 무력을 믿고 이웃 나라를 압박했는데, 심지어 진나라 혜문왕 때는 장의 자신이 진나라 군사를 이끌고 위나라를 침략하기도 했다. 

 

그래서 위나라 재상이 된 장의는 위나라 애왕에게 진나라를 위해 합종을 탈퇴하고 연횡에 가담하라고 했다. 그러나 위나라 애왕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나라공격

 

이에 진나라는 본보기로 한나라를 공격해 8만 명에 이르는 군사를 죽였다. 이 소식을 들은 애왕은 잠을 이루지 못했다. 장의는 바로 이때다 하며 애왕에게 다가갔다.

 

"전하, 만약 진나라를 섬기면 초나라나 한나라가 우리나라를 쳐들어오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초나라와 한나라만 쳐들어오지 않는다면, 전하께서는 베개를 높이 베고 편히 잘 주무실 수 있고, 나라도 아무런 걱정이 없을 것입니다." 즉 '고침안면'을 말한 것이다.

 

자신의 정치 이념인 연황책을 이룸

 

위나라 애왕은 결국 진나라에 복종하고 합종을 탈퇴했다. 장의는 이 일을 시작으로 나머지 다섯 나라도 차례로 설득해 연횡을 성립했다. 장의는 결국 자신의 정치 이념인 연황책을 이룬 것이다.

 

주변의 근심거리를 제거하면 고침안면할 수 있겠지요? 어려움에 슬기롭게 대처하시고 고침안면(편안한 상태)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