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짓하여 부를 만큼 가까운 거리 사자성어 손짓하여 부를 만큼 가까운 거리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손짓하여 부를 만큼 가까운 거리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지호지간(指呼之間) 손짓하여 부를 만큼 가까운 거리를 뜻함. 2. 지호간(指呼間) 손짓하여 부를 만큼 가까운 거리를 뜻함. 3. 일우명지(一牛鳴地) 한 마리 소의 울음소리가 들릴 만한 가까운 거리의 땅을 뜻함. 1. 넘어지면 코 닿을 데. 아주 가까운 거리를 뜻함. 2. 엎어지면 코 닿을 데. 무척 가까운 거리를 뜻함. 3. 엎드리면 코 닿을 데. 매우 가까운 거리를 뜻함.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성어속담 2023. 6. 11. 앞을 내다보는 안목 사자성어 앞을 내다보는 안목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앞을 내다보는 안목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 겠습니다. 1. 선견지명(先見之明) 다가올 일을 미리 짐작하는 밝은 지혜라는 뜻. (예) 그는 선견지명을 지녔다. (예) 그의 선견지명이 우리를 살렸다. (예) 율곡 선생은 전쟁에 대한 선견지명이 있었다. 2. 좌견천리(坐見千里) 자리에 앉아서 천 리를 본다는 말로, 보이지 않는 먼 곳이나 앞일을 내다본다는 뜻. (예) 그는 좌견천리의 능력을 지녔다. (예) 그의 좌견천리가 회사를 살렸다. (예) 그는 좌견천리의 능력을 타고 났다. 중국 한나라 때 북쪽에서 흉노가 세력을 떨치고 있었다. 한나라의 명장 곽거병이 흉노를 침공하자 흉노의 왕이던 김일제의 아버지는 투항을 거부하고 살해되었다. 그러.. 성어속담 2023. 6. 10. 내실을 다진다는 사자성어 내실을 다진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내실을 다진다는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자강불식(自强不息) 스스로 힘써 몸과 마음을 가다듬고 쉬지 않음. 2. 절차탁마(切磋琢磨) 옥이나 뿔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말로, 학문이나 도덕, 기예 등을 열심히 배우고 익혀 수련함을 뜻함. 3. 환골탈태(換骨奪胎) 낡은 제도나 관습 따위를 고쳐 모습이나 상태가 새롭게 바뀜. 4. 주야역학(晝夜力學) 밤낮을 가리지 않고 학문에 힘씀을 뜻함. 5. 권독종일(券讀終日) 종일 책을 읽음을 뜻함. 6. 수불석권(手不釋卷)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는 말로, 늘 글을 읽음을 뜻함. 7. 청경우독(晴耕雨讀) 날이 개면 논밭을 갈고 비가 오면 글을 읽는다는 말로, 부지런히 일하며 여가를 헛.. 성어속담 2023. 5. 23. 삼십육계 줄행랑뜻 중국의 자치통감에 전해오는 고사성어 삼십육계주위상책은 삼십육계 줄행랑으로 많이 사용되는데요, 삼십육계 줄행랑은 어떤 뜻일까요? 삼십육계 줄행랑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른여섯가지 계책 가운데 피하는 게 가장 좋은 계책이라는 말로, 즉 불리할 때는 도망가는 것이 가장 좋다는 의미입니다. 삼십육계 줄행랑의 원래 말은 '삼십육계주위상책'입니다. - 삼십육계주위상책(三十六計走爲上策) 서른여섯가지 계책 가운데 피하는 것이 가장 좋은 계책이라는 말로, 즉 불리할 때는 도망가는 것이 가장 좋다는 의미. 한문으로는 三十六計走爲上策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三 : 석 삼) (十 : 열 십) (六 : 여섯 육) (計 : 셈할 계) (走 : 달아날 주) (爲 : 할 위) (上 : 위 상) (策 : 꽤 책)입니다. 중.. 성어속담 2023. 5. 4. 미인박명 가인박명 뜻 및 유래 '미인박명, 가인박명'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미인박명 가인박명은 어떤 뜻일까요? 미인박명 가인박명의 뜻 및 유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미인은 불행하거나 몸이 약해서 일찍 죽는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실제로 주위를 둘러보면 미인은 팔자가 몹시 사납고 일찍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자는 美人薄命(미인박명)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美 : 아름다울 미) (人 : 사람 인) (薄 : 엷을 박) (命 : 목숨 명)입니다. 미인박명이라는 말은 예쁜 여자가 일찍 죽어서 생긴 것이 아니라, 예쁜 여자가 좋은 신랑을 만나지 못하고 절에서 외롭게 지내는 모습에서 나오게 된 것입니다. 미인박명의 어원을 살펴보면 가인박명이 미인박명으로 바뀐 것입니다. 즉, 박명가인이 가인박명으로 바뀌고 가인박명이 다시 미인박명으.. 성어속담 2023. 4. 1. 도둑 관련 속담 도둑 관련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도둑 관련 속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도둑 맞고 사립문 고친다. 일이 이미 잘못된 후에는 손을 써도 소용이 없다는 뜻. 2.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작은 나쁜 짓도 자꾸 해서 버릇이 되면 나중에는 큰 죄를 저지르게 된다는 뜻. 3. 도둑이 제 발 저리다. 지은 죄가 있으면 자연히 마음이 조마조마해진다는 뜻. 4. 도둑이 매를 든다.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기세를 올리고 나무람을 뜻함. 5. 도둑이 들려면 개도 안 짖는다. 운수가 나쁘면 모든 것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뜻. (유사 속담 : 도둑을 맞으려면 개도 안 짖는다) . 6. 도둑질을 해도 손발이 맞아야 한다. 무슨 일이든 서로 뜻이 맞아야 이루기 쉽다는 뜻. 7. 도둑이 없으면 법도 쓸데없다. 도.. 성어속담 2023. 3. 8. 하늘은 스스로 돕는자를 돕는다 사자성어 하늘은 스스로 돕는자를 돕는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하늘은 스스로 돕는자를 돕는다는 속담과 의미가 같은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천조자조(天助自助) 하늘은 스스로 돕는자를 돕는다는 말로, 하늘은 스스로 노력하는 사람을 도와 성공하게 한다는 뜻. 2. 자천우지(自天祐之)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말로, 하늘은 스스로 노력하는 사람을 도와 성공하게 한다는 뜻. . 3. 창천불부고심인(蒼天不負苦心人) 하늘은 스스로 애쓰는 자를 결코 버리지 않는다는 뜻. 4. 자구다복(自求多福) 많은 복은 하늘이 주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구해서 이루어진다는 뜻.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성어속담 2023. 2. 2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