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삼모사 (朝三暮四) 뜻 조삼모사 유래 '조삼모사'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조삼모사는 어떤 뜻일까요? 또 조삼모사는 어떻게 유래되었을까요? 조삼모사 (朝三 暮四) 뜻, 조삼모사 유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교활한 꾀를 써서 남을 속이고 놀림을 뜻합니다. 조삼모사(朝三暮四)는 아침에 세개, 저녁에 네 개라는 말로, 주로 간사한 꾀를 써서 상대방을 현혹시킨다는 의미로 사용됩 니다. 그리고 당장 눈앞에 나타나는 차이는 알지만 그 결과가 동일하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도 사용됩니다. ※ 조삼모사의 쓰임 ① 간사한 꾀로 상대방을 현혹시킴. ② 당장 눈앞에 나타나는 차이는 알면서 그 결과가 동일하다는 사실을 모름. ※ 조삼모사 예문 ① 조삼모사를 일삼는 사람은 조심해야 한다. ② 조삼모사와 같은 속임수를 경계해야 한다... 성어속담 2023. 7. 20. 참을인 사자성어 참는다 사자성어 참을인 사자성어, 즉 참는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참을인 사자성어 (참는다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견인지구(堅忍持久) 굳게 참고 견디어 오래 버팀. 2. 견인불발(堅忍不拔) 굳게 참고 견뎌 마음이 흔들리지 않음. 3. 견인지종(堅忍至終) 끝까지 굳게 참고 견딤. 4. 자비인옥(慈悲忍辱) 중생(衆生)에게 자비(慈悲)하고 온갖 욕됨을 스스로 굳게 참음. 5. 인자공부(忍字工夫) 참고 견디는 마음을 기르는 일. 6. 인지위덕(忍之爲德) 모든 일에 있어서 참는 것이 덕이 됨. 7. 은인자중(隱忍自重) 밖으로 드러내지 아니하고 참고 감추어 몸가짐을 신중히 함. 8. 서인자일백(書忍字一百) 가정의 화목은 서로가 인내하는데 있음. 1. 참을 인 자 셋이면 살인도 피한다 어.. 성어속담 2023. 7. 13.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 의미 단어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을 의미하는 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을 의미하는 단어 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유언비어(流言蜚語)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 2. 도청도설(道聽塗說) 근거없이 거리에 떠도는 뜬소문. 3. 부언낭설(浮言浪說) 항간에 떠돌아다니는 소문. 4. 부언유설(浮言流說) 항간에 떠돌아다니는 소문. 5. 무근지설(無根之說) 아무런 근거 없이 떠도는 말. 6. 가설항담(街說巷談)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 7. 가담항어(街談巷語)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 8. 가담항의(街談巷議)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 9. 낭설자자(浪說藉藉) 터무니없는 말이 퍼지다는 말로, 헛된 소문이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림을 뜻함. 10. 봉인봉설(逢人卽說.. 성어속담 2023. 7. 10. 앞뒤가 다른 사람 사자성어 앞뒤가 다른 사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앞뒤가 다른 사람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말과 행동이 서로 달라 사람의 됨됨이가 바르지 못하다. 1. 구시심비(口是心非) 말로는 옳다 하면서 마음속으로는 그르다고 여김. 2. 모순당착(矛盾撞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않고 모순이 됨. 3. 언행불부(言行不符) 말과 행동이 서로 일치하지 않음. 4. 언행불일치(言行不一致) 말과 그에 따른 행동이 서로 다름. 5. 언행상반(言行相反) 하는 말과 하는 행동이 서로 다름. 6. 양면삼도(兩面三刀) 양다리를 걸치며 겉과 속이 다름. 7. 양봉음위(陽奉陰違) 겉으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마음속으로는 배반함. 8. 유언묵행(儒言墨行) 말과 행동이 서로 다름. 9. 자가당착(自家撞.. 성어속담 2023. 6. 27. 아양을 떨며 아첨하듯이 웃는 웃음 아양을 떨며 아첨하듯이 웃는 웃음을 뜻하는 단어는 무엇일까요? 아양을 떨며 아첨하듯이 웃는 웃음을 뜻하는 단어에 대 해 살펴보겠습니다. 아양을 떨며 아첨하듯이 웃는 웃음을 뜻하는 단어는 '미소(媚笑)입니다. ① 미소(媚笑) 아양을 떨며 곱게 웃음. 아양을 떨며 아첨하듯이 웃는 웃음. (예) 그녀의 미소(媚笑)는 정말 역겨웠다. (예) 그의 미소(媚笑)에 불쾌감이 들었다. ② 미소(微笑 ) 소리 없이 빙긋이 웃는 웃음. (예) 그녀는 미소를 머금고 나를 바라보았다. (예) 그녀의 미소는 정말 아름다웠다. 아양을 떨며 아첨하듯이 웃는 웃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는 협견첨소(脅肩諂笑)입니다. . ③ 협견첨소(脅肩諂笑) 어깨를 간들거리고 아양을 부리며 웃음. 1. 박장대소(拍掌大笑)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2. .. 성어속담 2023. 6. 23.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뜻 및 한자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뜻과 한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어릴 적에 몸에 밴 버릇은 죽을 때까지도 고치기가 힘들다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나쁜 버릇이 들지 않도록 잘 배우거나 가 르쳐야 한다는 교훈을 주는 속담입니다. 그만큼 사람의 버릇은 고치기가 힘들다는 것을 강조한 속담입니다. ※ 삼세지습 지우팔십'입니다. - 삼세지습 지우팔십(三歲之習 至于八十) 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뜻입니다. ·개별한자의 뜻은 (三 : 석 삼) (歲 : 해 세) (之 : 갈 지) (習 : 익힐 습) (至 : 이를 지) (于 : 어조사 우) (八 : 여덟 팔) (十 : 열 십)입 니다. 1. 어릴 적 버릇은 늙어서까지 간다. 어릴 때 굳어진 나쁜 버릇은 잘 고쳐지지 않는.. 성어속담 2023. 6. 17.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사자성어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자성어는 없습니다. 그러나 한자성어는 있는데요, 바로 거언미 래언미(去言美 來言美)입니다. - 거언미 래언미(去言美 來言美) 가는 말이 고우면 오는 말도 곱다는 뜻. 이와 의미가 비슷한 한자성어는 래어불미 거어하미(來語不美 去語何美)입니다. - 래어불미 거어하미(來語不美 去語何美) '오는 말이 곱지 못한데 가는 말이 어찌 곱겠는가'라는 뜻. 상대편의 태도가 공손하고 부드러워야 이쪽에서도 점잖게 대한다는 말로, 남이 제게 하는 대로 자기도 남에게 한다는 뜻. 1. 네 떡이 한 개면 내 떡이 한 개라. 남이 나를 위해 준 것만큼 나도 남을 위해 준다는 뜻. 2. 오는 떡.. 성어속담 2023. 6. 1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