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소방의 발전과정 복잡한 현대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재난, 피할 수 없지만 극복을 위해 노력하시는 전국의 소방관 여러분께 감사를 드리며, 우리나라 소방역사의 발전과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삼국시대 화재를 사회적 재앙으로 인식하면서 금화의식이 생기게 되었으며, 신라시대 민가에 화재가 발생하여 100 여동이 소실됨으로써 왕이 이재민을 위문하고 구제를 위한 활동기록이 있음. 2. 고려시대 (금화제도 시작시기) 화재방지를 위하여 창름(쌀창고)과 부고(창고)등에 금화관리를 두게 되었고, 화약사용이 많아지게 되면서 화통도감을 신설관리하고 소방을 소재라고 하였습니다. 3. 조선시대 전기 ① 세종8년2월 금화조직을 설치 ※ 병조에 금화도감을 설치 ☞ 한국최초의 소방(금화) 관서. ② 세종8년6월 금화도감+성문도감 ☞ 수성.. 소방설비 2024. 1. 13. 감지기의 종류와 작동형식 소방감지기는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 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수신기에 알려주는 장치로서 다음과 같이 종류별로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1.열감지기 ①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넓은 범위에서의 열효과에 의하여 작동. ② 스포트형 감지기 일국소(좁은 범위)에서의 열효과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 ③ 정온식 감지기 - 감지선형 감지기 :일국소의 주위온도가 일정이상의 온도가 되면 작동하는 것으로 외관이 전선으로 되어 있음. - 스포트형 감지기:바이메탈의 활곡, 반전을 이용한 것으로 금속의 팽창계수를 이용한 것, 액체 또는 기체의 팽창을 이용한 것, 감열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것이 있음. 특종, 1종, 2종으로 분류함. ④ 열 복합형 감지기 차동식과 정온식을 겸용한 것으로 두 가지 기능이 동시에 작동되면.. 소방설비 2023. 12. 25. 스프링클러의 작동방식과 원리 스프링클러는 우리의 생활공간이나 창고 등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초기진화에 효과적인 방호역할을 담당하는 설비입니다. 1. 스프링클러 설비의 장점 ①소화약제가 물이기 때문에 값이 싸서 경제적이다. ②감지부의 구조가 기계적이므로 오동작 염려가 적다. ③시설의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④화재시 초기진화에 효과적이다. 2. 스프링클러의 작동방식과 원리 1) 습식스프링클러 습식밸브의 1차 측 및 2차 측 배관 내에 항상 가압수가 충수 되어 있다가 화재발생 시 열에 의하여 헤드가 개방되면서 물이 분사되어 소화. 2) 건식스프링클러 건식밸브의 1차 측에는 가압수, 2차 측에는 공기가 압축되어 있다가 화재발생 시 열에 의하여 헤드가 개방되면서 물이 분사되어 소화. ※참고사항 2차 측 밸브의 압축공기를 충.. 소방설비 2023. 12. 16. 옥내소화전 수원의양 화재 시 옥내소화전에서 사용해야 할 수원의 양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옥내소화전의 기능옥내 소화전은 고정식으로서, 수동식 수계소화설비이며, 화재 발생 시 초기진화를 위한 시설로, 소방대가 도착하기 전 20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소방설비 입니다. ①법적설치 규모는 연면적 3,000㎡이상, 근린생활·숙박·업무시설등은 연면적 1,500㎡이상. ②1개당 분출되는 방수량(토출량)은 130ℓ/min이상이며, 방수압은 0.17~0.7 Mpa이하(17m~70m까지)를 갖추어야 합니다. 2. 옥내소화전 수원(물)의 양화재는 어느 층에서 발생할지 예측할수 없으므로 각 층마다 소화전을 설치하여야 하며, 층별로 가장 많은 소화전이 설치된 층의 개수에 따라 물의 양을 지하수조 또는 건물내부에 저장하여야 합니다. .. 소방설비 2023. 12. 3.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자동확산 소화장치란? 우리의 생활공간이나 가정에서 볼 수 있는 화재경보기인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주방용 자동확산소화장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단독경보형 감지기는 교류형과 직류형이 있으며, 건전지가 내장된 직류형 감지기가 많이 쓰이고 있음. ①화재 시 열에 의해 감지된 화재신호(삐~)를 신속하게 실내 안에 경보하여 인명피해를 미리 경고하거나, 실내 초기 진화를 위한 소방설비임. ②별도의 수신기를 필요로 하지않으며,내장된 음향장치에 의하여 단독으로 화재발생상황을 알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 2. 구조 및 기능 ①감지기 내부에 건전지와 음향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전원을 공급하며, 화재 시에는 감지기 자체에서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설비임. ②음압은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m떨어진 지점에서 70db 이상이고, 10분 이.. 소방설비 2023. 11. 30. 이전 1 2 3 4 다음